반응형
오늘은 SELENIUM과 PHANTOMJS를 이용하여 네이버 로그인을 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어제 저장해놨던 이미지를 윈도우 폴더를 마운트해서 실행할겁니다
하지만 인코딩을 안해주면 한글이 깨질 가능성이 있어서 인코딩 옵션을 넣어서 실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코드는 기본 SELENIUM과 PHANTOMJS 골격 코드입니다
웹드라이버로 브라우저를 열고나서 셀레니움의 버그성으로 인해 3초간 딜레이를 넣어 기다려줍니다
그리고 url에 접속하고 그다음에 사진으로 저장을합니다
네이버 메인화면이 잘 저장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대망의 로그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로그인 페이지가 잘 들어가지는지 사진으로 저장해서 확인합니다
그뒤에 id란과 pw란과 버튼을 검사를 눌러 지표가 될만한 것들을 봐줍니다
id나 name type이나 class등이 있습니다
그런 지표들로 접근을 한뒤에 칸을 입력하는 코드를 짜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input칸에 원하는 글자가 잘 쳐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를 통해 로그인 시도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타깝게도 네이버에서 자동로그인방지코드를 걸어놔서 로그인이 안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한번 로그인을 어떻게 해야하나 내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HINELEARNING]TIL8 CSV와 EXCEL 데이터 수집하기 (0) | 2018.12.06 |
---|---|
[MACHINELEARNING]TIL7 XML과 JSON 형식 데이터 수집하기 (0) | 2018.12.05 |
[MACHINELEARNING]TIL5 requests로 세션 쓰기와 PhantomJS + Selenium 활용 (0) | 2018.11.29 |
[MACHINELEARNING]TIL4 네이버 금융과 뉴스 크롤링하기 (0) | 2018.11.28 |
[MachineLearning]TIL3 GET방식과 BS4를 사용한 크롤링 (0) | 2018.11.27 |